DCOUNT(범위, 열 번호, 조건) : 해당 '범위'에서 '조건'에 맞는 자료를 대상으로 지정된 '열 번호'에서 숫자가 있는 셀의 개수를 계산합니다. DCOUNT 함수는 데이터 목록에서 조건에 맞는 자료 중 숫자가 있는 레코드의 개수를 계싼할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. 데이터 목록은 행(레코드)과열(필드)로 이루어진 관련 데이터의 모임으로, 목록의 첫째 행에는 반드시 각 열의 제목(필드명)이 있어야 합니다. 그리고 DCOUNT 함수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함수는 데이터 목록과는 별도의 셀에 조건을 지정한 후 함수의 인수로 사용해야 함니다. 문자, 오류값 등이 들어 있는 셀의 개수를 세어야 할 때에는 DCOUNTA함수를 사용하세요. 부록페이지 30나는 왜 이렇게 풀었지....... 그리고 왜 값을 도출해내지...
DSUM( 범위, 열, 번호, 조건) : 해당 '범위'에서 '조건'에 맞는 자료를 대상으로 지정된 '열 번호'에서 합계를 계산합니다. DSUM 함수는 데이터 목록에서 조건에 맞는 자료들의 합계를 계산할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. 데이터 목록은 행(레코드)과 열(필드)로 이루어진 관련 데이터의 모임으로, 목록의 첫째 행에는 반드시 각 열의 제목(필드명)이 있어야 합니다. 그리고 DSUM 함수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함수는 데이터 목록과는 별도의 셀에 조건을 지정한 후 함수의 인수로 사용해야 합니다. 왜난 항상 다른식으로 답을 낼까
MIN(인수1, 인수2,...) : 인수로 주어진 숫자에서 가장 작은 수를 반환합니다. MIN함수는 인수로 주어진 숫자들 중에서 최소값을 구하는 함수로, 1개부터 255개까지의 인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인수에 텍스트, 논리값 또는 빈 셀이 포함되는 경우 그 값은 무시됩니다. 인수에 숫자가 하나도 없으면 0이 반환됩니다. 기출 틀렸어 근데 흠 VLOOKUP으로 그 값이랑 비슷한 값을 찾아야하는거야 그냥 LOOKUP으로는 옵션이 없으니까 찾을수가 없어. 가릿?